IT 일반
中 총리 “AI 독점 경계…국제 협력기구 설립 주도할 것”
- “핵심 기술, 일부 국가·기업에 집중…글로벌 규범 필요”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인공지능(AI)의 글로벌 독점을 막기 위해 중국이 국제 협력기구 설립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자국 기술우위를 공고히 하기 위한 규제 완화에 나선 가운데, 중국도 국제 규범 제정을 통해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리 총리는 26일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인공지능대회(World Artificial Intelligence Conference) 개막연설에서 “현재 핵심 자원과 역량이 일부 국가와 기업에 집중돼 있다”며 “기술 독점과 통제는 AI를 소수의 전유물로 만들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AI는 일자리 상실부터 경제 충격까지 다양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려면 국가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중국은 AI 공동개발을 위한 국제기구 설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특정 국가명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미국이 자국의 기술 패권 유지를 위해 엔비디아(NVIDIA) 등의 AI 칩 수출을 제한하는 등 중국 견제에 나선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는 또 “반도체 부족이 현재 가장 큰 병목”이라며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한 자립적 기술 생태계 구축 방침을 재확인했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과 미국은 생성형 AI 등 차세대 기술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번 주 데이터센터 규제를 완화하고 에너지 공급을 확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오픈AI와 구글 등을 앞세운 기술 우위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천명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도 '딥시크(DeepSeek)' 등 자국 기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AI 모델 공개, 로봇 개발, AI 에이전트 상용화 등으로 대응에 나섰다. 당국은 자국 기업들이 국제 표준을 선도하고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이도록 뒷받침하고 있다.
이번 상하이 대회는 중국의 AI 전략을 세계에 알리는 최대 기술 행사로, 노벨상 수상자인 제프리 힌턴과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 등도 참석했다. 행사에는 상하이시 당서기 천지닝과의 면담도 포함돼 관심을 끌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20분간 거꾸로 매달린 뒤 사망…태권도 관장은 “장난”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아깝다!' 황선우, 세계선수권 자유형 200m 4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K반도체·조선, 한미 관세협상 지렛대…JY '민관 총력전' 가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보수적 기조 유지했던 교정공제회, 연내 부동산 투자 나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제3국으로”…틈새시장서 노다지캐는 K바이오①인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