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롯데카드 297만명 정보유출… 네티즌 “무이자 할부가 보상이냐” 비판 쇄도 [AI픽]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롯데카드에서 무려 297만 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이 중 28만 명은 카드번호·유효기간·CVC 번호까지 털려 실제 결제 부정 사용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롯데카드는 전액 보상과 무이자 할부·보호 서비스 제공을 약속했지만, 온라인 여론은 싸늘하다. “카드사 신뢰가 무너졌다” “해지하겠다”는 반응부터 “무이자 할부가 보상이냐”는 비판까지 이어졌다.
롯데카드는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고객정보 유출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지난 7월 22일부터 8월 27일 사이 온라인 결제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외부 해커에 의해 유출됐다. 전체 회원 약 960만 명 중 297만 명이 피해 대상이며, 이 가운데 28만 명은 카드번호·유효기간·CVC 번호 등 결제 핵심정보가 포함돼 부정 사용 위험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카드 측은 “현재까지 실제 부정 사용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최우선적으로 해당 고객에게 재발급 안내를 하고 내년도 연회비 전액 면제를 약속했다. 또한 전체 피해 고객에게는 연말까지 ▲무이자 10개월 할부 서비스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크레딧케어’ ▲실시간 카드사용 알림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보상·대책 발표에도 싸늘한 여론
하지만 여론은 회사의 대응을 신뢰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기사 댓글란에는 “유효기간과 CVC까지 털리면 해외 결제 사이트 어디서든 사용 가능한데 재발급 말고 답이 없다” “해지해도 고객 정보는 이미 갖고 있을 텐데 무슨 의미냐”는 불안과 분노가 쏟아졌다. 특히 롯데카드가 내놓은 ‘무이자 10개월 할부’ 방안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털리고 할부가 무슨 보상이냐” “고객을 잡아두려는 꼼수”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피해액이 커지면 보상 못하고 부도나는 것 아니냐”는 불신도 드러났다.
일부 이용자들은 “카드 다 잘라버리고 현금만 써야겠다” “롯데카드 신청 안 해야겠다”며 탈퇴 의사를 밝혔고, “집단소송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댓글 중에는 단순한 불만을 넘어 정치·사회적 책임론까지 확산되는 모습도 나타났다. “정부도 기업도 피해를 100% 보상 못 한다. 결국 개인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정권 이후 하루도 안 털리는 날이 없다”는 불만이 정치적 비난으로 번졌다. 또 “북한 소행 아니냐” “중국 해커들 짓 같다” 등 배후를 특정하는 주장도 눈에 띄었다.
일부는 ‘롯데그룹 매각 후 사모펀드가 대주주가 됐기 때문에 책임을 다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했다. “롯데카드 대주주가 MBK라 탈퇴가 답이다” “징벌적 배상은 롯데카드가 아니라 MBK에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네티즌들은 “통신사도 털리고 카드사도 털리고… 안전한 곳이 없다” “왜 이렇게 해킹이 자주 일어나나, 구멍이 숭숭 뚫렸다”며 전반적인 금융보안 시스템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다. “처벌이 약하니 이런 범죄가 끊이지 않는다”는 제도적 보완 요구도 적지 않았다.
*이 기사는 AI를 활용해 작성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내 개인정보도?" 불안한 롯데카드 가입자…접속자 폭주에 앱 지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19살차 아내 죽으면 보험금으로…충격 사연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납부능력 없는 국민, 국세체납액도 5000만원까지 탕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지는 ‘ECM 스킨부스터’ 시장…호시절 끝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